기독 다큐 영화 ‘무명 無名’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조선을 사랑한 일본인 선교사 영화!
2025년,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은 기념비적인 해를 맞아 영화 ‘무명 無名’이 129년 전 조선시대에 알려지지 않았던 감동적인 한일 관계의 이야기로 감동과 울림을 전한다.
1965년, 광복 이후 일본과 외교 단절 상태였던 대한민국은 한일 수교의 필요성을 느끼고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하여 올해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하였다. 뿐만 아니라 2025년은 광복, 분단 80주년과 을사늑약 120주년, 을미사변 130주년, 미국 장로교 선교사 언더우드와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의 내한 선교 140주년이며 영화의 주인공인 오다 목사가 시무한 교토 재일한인교회가 100주년이 되는 해다.
영화 ‘무명 無名’은 암흑과 같았던 일제 강점기, 고통 가운데 있던 조선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찾아온 무명(無名) 선교사들의 이야기다. 이름 없이 복음만을 남긴 일본 최초의 해외 선교사 노리마츠 마사야스(乘松雅休, 1863-1921)와 일본의 신사참배를 부정한 또 다른 선교사 오다 나라지(織田楢次, 1908-1980)의 발자취를 따라가 기억한다. 이러한 기념비적인 해에 ‘무명 無名’은 한일 기독교인들에게 양국의 가교가 되어주었던 두 선교사의 숨겨진 역사를 통해 멀게만 느껴지는 가장 가까운 이웃나라, 일본에서 온 선교사들을 기억하게 한다.
1896년, 일본 최초의 해외 선교사 노리마츠 마사야스는 조선의 국모가 일본인에게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죄책감을 느끼고 조선에 복음을 전하려 한국행을 결심한다. 그는 조선인처럼 입고 마시며 생활하며 수원지역의 복음화에 앞장서며 수원 최초의 교회(現, 수원 동신교회)를 세워 그곳을 중심으로 전도 활동을 펼쳤다. 광복 후 일본 관련 추모비는 모두 철거되었지만 노리마츠의 것만은 그대로 남아있어, 당시 조선의 국민들이 노리마츠를 얼마나 존경했는지를 알 수 있다. 진정으로 조선인보다 더, 조선을 사랑한 일본 개신교 최초의 선교사다.
1928년, 일제강점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노리마츠의 정신을 잇는 또 다른 일본인 선교사 오다 나라지가 ‘지금 일본은 조선에 많은 죄를 짓고 있다 사죄하는 마음으로 조선에 복음을 전하려 한다’며 한국행을 결심한다. 오다는 신사참배를 강요당하던 시대에 저항하여 육천 명이 넘는 조선인이 모인 평양 숭실대학교 강당에서 “신사참배가 종교 행위가 아닌 국민의례라는 소리는 거짓말”이라고 외치며 용기를 전했다. 신사참배 반대 설교를 펼쳐 조선의 독립을 지지한다고 의심받아 일본군에게 고된 고문까지 받다가 결국 1939년 강제 추방당하고 만다.
영화 ‘무명 無名’은 배우 하정우가 내레이션을 담당했으며 노리마츠 역을 맡은 김륜호 배우와 오다 역의 김중희 배우는 일본어를 현지인만큼 유창하게 구사하여 두 선교사 역할을 열연했다.
의미 깊은 2025년을 기념해 숭고한 사랑과 믿음의 가치를 전달하는 영화 ‘무명 無名’은 6월 25일 전국 롯데시네마에서 단독 개봉한다.